【베이비뉴스 윤정원 기자】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최근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집중호우가 잦아 낙뢰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1일 밝혔다.
기상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10년간(‘09~‘18) 평균 12만 4374회의 낙뢰가 발생했다. 작년에 발생한 전체 11만 4751회의 낙뢰 중 27%가 넘는 3만 1098회가 8월에 집중됐는데 이는 대기 불안정으로 낙뢰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인명피해는 최근 10년간(‘09~‘18) 총 46명의 사상자 발생했는데 감전 피해자가 44명(95.7%), 화재 피해자가 2명(4.3%)이었다. 재산피해는 최근 10년간(‘09~‘18) 총 748건이 신고 됐으며 피해금액은 총 65억여 원이었다.
낙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먼저 낙뢰예보가 있으면 가급적 야외활동을 삼가고 부득이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미리 적절한 피난장소(건물, 자동차 등)를 확인해야 한다. 낙뢰가 칠 때는 자세를 낮추어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하며 큰 나무 아래나 금속 울타리, 철탑 및 가로등 주변은 위험하므로 주의하는 게 좋다.
개방된 공간에서는 주위보다 높은 지점이 되지 않도록 손으로 귀를 덮은 채로 머리를 가능한 땅에 가깝게 해 웅크려 앉아야 낙뢰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천둥이나 번개가 친 후에는 조급하게 움직이지 말고 최소한 30분 정도 기다렸다가 이동하는 것이 안전하다. 천둥·번개가 칠 때 우산을 쓰거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등산용 지팡이, 골프채 등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낙뢰를 끌어들일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또한 자동차 안으로 대피한 경우 가급적 외부와 연결된 금속부분이나 라디오 등에 접촉하거나 작동하지 말아야 한다. 낙뢰 전류로 전자기기가 고장 날 수 있으므로 낙뢰 이후 제대로 작동하는 지 기능을 점검하는 것이 좋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낙뢰 사고가 나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며 “낙뢰 사고는 한번 발생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만큼 방심하지 말고 안전수칙을 생활화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베이비뉴스는 창간 때부터 클린광고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은 언론으로서 쉬운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비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베이비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사후원 참여는 아름다운 나비효과를 만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