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뉴스 전아름 기자】
# 39세 직장인 여성 A씨. 여름철이 되면 목에 뭐가 걸린듯한 이물감, 가슴쓰림, 명치통증으로 고생한다. 더위를 많이 타는 성격이라 아이스커피나 차가운 음료수를 즐겨 마시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런데 작년부터 속쓰림이 심해져 위내시경검사를 받았는데 역류성식도염과 미란성위염으로 진단받았다. 처방 받은 약을 복용하면 속이 편해지지만 약을 끊으면 재발하기가 벌써 몇 달 째다.
역류성식도염(Reflux esophagitis)은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에 염증을 일으켜 발생하는 불편감을 말한다. 위와 식도 사이에서 밸브역할을 하는 하부식도괄약근이 비만,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의 요인으로 느슨해지면 위산이나 위내용물이 역류해서 가슴쓰림, 속쓰림, 신트림, 목에 이물감, 쉰목소리, 가슴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부천으뜸한의원 박지영 원장(한의학박사)은 “역류성식도염은 양성자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같은 약을 투여하면 위산을 차단해 증상이 금방 좋아지지만, 약을 끊었을 때 재발이 잘 되어 답답해하는 환자들이 많다. 한의학적으로는 위장에서 발생한 독소인 담적(痰積)으로 위장 운동성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담적병(痰積病)의 범주로 보고 치료한다”고 설명한다.
선천적인 비위허약(脾胃虛弱), 잘못된 식습관, 심한 스트레스나 누적된 만성피로는 위장기능을 저하시켜 위장 내부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게 되고 여기서 발생한 독소가 위장 점막과 외벽 사이의 미들존(middle zone)에 쌓여 굳어진 것을 담적(痰積)이라고 한다.
담적(痰積)은 직접적으로 위장의 연동운동을 저하시켜 만성소화불량, 복부팽만감, 복부가스, 목에이물감, 속쓰림, 위경련, 복통, 변비, 설사와 같은 역류성식도염이나 과민성대장증후군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소화기증상을 유발한다.
담적은 위장에 분포한 혈관과 림프관으로 침윤하여 전신으로 확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확산된 담적 독소는 만성피로 증상, 두통, 어지러움증, 불면증, 우울증, 수족냉증, 이명, 오른쪽옆구리통증, 여성의 경우 심한 생리통, 생리불순 등 다양한 전신증상까지도 유발할 수 있다. 담적이 유발하는 이러한 증상군을 담적병(痰積病, 담적증) 혹은 담적증후군으로 부른다.
담적병의 치료는 우선 정확한 진단에서 출발한다. 경락기능검사를 통해 자율신경균형 및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복진(腹診), 설진(舌診), 맥진(脈診), 병력청취를 통해 입체적으로 담적병의 증상유형을 파악한다. 이후 담적병 증상별로 담적을 제거하고 담적이 생성되지 않는 체내 환경 조성을 위해서 개인 체질에 맞게 한약을 처방한다. 증상 경중에 따라서 위장 경락순환을 도울 수 있는 침치료와 약침치료, 온열치료도 주기적으로 병행하면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박지영 원장은 “담적병(담적증)은 위장과 전신의 기능성 질환으로 내시경 같은 검사에서는 파악되지 않아 한의원 내원 시에는 증상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치료에 6개월이상 소요된다. 평소 담적병 증상이 의심된다면 한의원을 찾아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맵고 짠 음식, 기름진 음식, 탄산음료 등의 섭취는 피하고 꾸준한 유산소운동을 통해 복부비만 예방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한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베이비뉴스는 창간 때부터 클린광고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은 언론으로서 쉬운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비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베이비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사후원 참여는 아름다운 나비효과를 만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