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뉴스 전아름 기자】
전국국공립유치원교사노동조합이 16일 성명서를 내고 교육부의 '유보통합 선도교육청 운영'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관 양성체제, 교사자격 문제 등 최소한의 가이드라인도 없고 구체적인 행정과 재정에 대한 지원 계획도 없다는 주장이다. 노조는 "일단 선도교육청을 지정하고 그 안에서 실험하면서 수정해나가겠다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늘봄학교때보다 더한 현장의 혼란과 반감만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교육부는 지난 13일 '2023년 유보통합 선도교육청' 선정 계획을 발표했다. 노조는 "유보통합추진위 깜깜이 구성이 논란이 된 이후 추진위 구성에 대해서는 아예 입을 닫은 채, 선도교육청을 우선 지정하여 시범운영을 시작하겠다는 계획"이라며 "유보통합에 대한 제도적, 교육적 논의를 생략한 채 시·도 교육청에 책임을 떠넘겨 일단 시작하고 보자는 식의 ‘졸속 추진’이 될 것이라는 현장의 우려를 낳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교육부는 이미 1월에도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초등 늘봄학교 시범운영을 발표하여 현장에 혼란을 초래하였음에도 같은 방식으로 유보통합의 길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라며 "철저한 계획과 준비를 거쳐도 시행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에 대해 ▲선도교육청 운영 전, 먼저 전문성 있는 추진위 및 자문단 구성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인선에 대한 현장의 검증 절차를 거칠 것 ▲유보통합 선도교육청 추진 과정에서 현장에서 직접 운영을 하게 될 일선 교사와 기관의 동의를 먼저 구할 것 ▲무조건적으로 선도교육청을 받지 말고, 내실 있는 운영과 더불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선도교육청 규모를 축소할 것 ▲선도교육청 운영의 재원 마련을 교육청과 지자체 부담으로 떠넘기지 않도록, 반드시 운영 전 특별회계를 편성할 것 등을 요구했다.
노조는 "유보통합은 체제 개편을 통해 교육의 질을 더욱 높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추진해야 한다. 목적 없이 실험적으로 쫓아가는 방식의 교육정책은 현장의 혼란을 초래하고 결국 그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 아이들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라며 "교육부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중단하고, 추진 전 제도적인 준비를 더욱 완벽히 하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베이비뉴스는 창간 때부터 클린광고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은 언론으로서 쉬운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비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베이비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사후원 참여는 아름다운 나비효과를 만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