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뉴스 소장섭 기자】
양천 입양아동 사망사건인 이른바 '정인이 사건'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영유아교사를 위한 교육서비스 알짜닷컴과 공동기획으로 보육교사의 측면에서 정인이 사건을 바라봤습니다.










[알림] 시각장애인 웹접근성 보장을 위한 대체텍스트입니다.
1.
어린이집 선생님의 속사정
2.
양부모의 학대로 생후 16개월 만에 숨진 정인이 사건으로 여론이 다시 들끓고 있습니다. 소셜미디어(SNS) 등 온라인에서는 '정인아 미안해'라고 쓴 뒤 사진을 게시하는 추모 챌린지가 확산하고 있고, 정치권도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겠다며 움직이고 있습니다.
3.
아동학대 특례법에 따라 학대 신고 의미자로 지정돼 있는 보육교사
4.
"신고 했다가 뺨 맞은 교사... 1년간 42명의 '정인이'를 잃었다"
하지만 실상은... 학대가 의심이 돼도 불이익이 무서워 못 본 척할 수밖에 없는 어린이집 선생님들.
5.
정인이가 구조될 수 있었던 첫 번째 기회
정인이의 아동학대를 의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신고로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양천경찰서에서 조사 시작. -2020. 5. 25-
6.
하지만 무혐의처분.
"뼈가 부러지거나 어디가 찢어지지 않는 이상 아동학대로 인정될 수 없습니다." -담당 경찰-
7.
정인이가 구조될 수 있었던 두 번째 기회
정인이를 데리고 소아과를 찾아간 어린이집 보육교사, 아동학대를 의심한 소아과 전문의의 2차 학대의심 신고. -2020. 9. 23-
8.
하지만 돌아온 건 양부모의 거센 항의 뿐
"선생님, 왜 내 허락도 없이 병원을 데려가요?" -정인이의 양부모-
9.
"결국... 온 몸 골절, 췌장 절단으로 인한 사망"
우리는 정인이를 지켜주지 못했습니다. -2020. 10. 13-
10.
대한민국 보육교사들이 더욱 용기내어 아이들을 지킬 수 있도록 우리들의 관심이 필요한 때입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베이비뉴스는 창간 때부터 클린광고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은 언론으로서 쉬운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비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베이비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사후원 참여는 아름다운 나비효과를 만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