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아이의 정신 건강은 안녕하십니까
당신 아이의 정신 건강은 안녕하십니까
  • 정은혜 기자
  • 승인 2014.02.28 1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들 “영유아 10명 중 3~4명 정신건강 문제”

【베이비뉴스 정은혜 기자】

 

보건복지부가 지난 2012~2013년 실시한 ‘한국 영유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경기 광명시와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만 6세 이하 영유아 10명 중 3~4명은 사회·정서적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영유아의 정신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지만 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낮은 것이 현실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90년대부터 정신건강정책에 영유아기를 포함하는 정책을 마련했고 WHO는 지난해 정신건강 지원 방향에 영유아기 개입과 아동에 대한 지원이 포함될 정도로 영유아기 정신건강을 중요시하고 있다.

 

신의진 새누리당 의원 주최로 2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영유아 정신건강 실태에 따른 지역정신건강지원 정책방향 토론회’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영유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날 발표된 내용을 토대로 아이의 정신이 건강하지 않으면 어떠한 문제점을 초래하는지 살펴보고, 정신건강을 지키기 위해선 어떤 정책이 수반돼야 하는지 정리했다.

 

2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영유아 정신건강 실태에 따른 지역정신건강지원 정책방향 토론회’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영유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쏟아냈다. 정은혜 eh.jeong@ibabynews.com ⓒ베이비뉴스
2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영유아 정신건강 실태에 따른 지역정신건강지원 정책방향 토론회’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영유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쏟아냈다. 정은혜 eh.jeong@ibabynews.com ⓒ베이비뉴스

 

◇ 남아는 공격성, 여아는 우울 문제

 

먼저 발표를 맡은 김명식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에 따르면 광명시 12~35개월 영유아 192명 중 39.06%가 우울, 위축, 또래 관계 문제, 주의력 문제 등 사회성과 정서적 장애를 겪고 있었다.

 

연령별 장애율은 ▲30~35개월 48.33% ▲24~29개월 42.3% ▲12~17개월 31.57% ▲18~23개월 28.57% 순이었고, 여아의 장애율(48.86%)이 남아(30.76%)보다 높게 나타났다. 뒤이어 실시된 마포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28.78%의 12~35개월 영유아가 장애를 보였고 여아의 정신건강이 남아보다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반적으로 남아는 공격성·반항, 충동성과 같은 외형화 문제가 많았고 여아는 우울·위축, 분리불안과 같은 내면화 문제를 보였다. 특히 모방·놀이나 또래관계에서 여아가 남아에 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재미있는 점은 부모는 영유아 정신건강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보육의 질을 개선하면 아이의 정신건강이 좋아질 것이라 생각했다. 반면 보육교사는 부모의 정신건강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해 입장차를 보였다.

 

김명식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약 300만 명의 전체 영유아에 비해 매우 적은 숫자로 전체 영유아에게 일반화하기는 제한이 있다”며 “전국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국가차원에서 영유아 정신건강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 영유아 정신건강이 평생 건강 좌우

 

반건호 경희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태어날 때부터 서서히 텔레모어가 얇아지는데 빨리 얇아지면 알츠하이머 등에 질병에 쉽게 걸린다. 특히 태아가 부모 싸움 등을 접하면 그때부터 텔레모어가 얇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반건호 교수는 “스웨덴에서는 아기 때 집안문제가 많았던 사람이 50~60대가 되면 자궁암 등의 빨리 노출된다고 알려져 있다”며 “영유아 정신건강은 단순히 영유아에서 끝나지 않고 평생까지 건강을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해 무상보육에 8조 원이 들어갔는데 여기서 5%만 잡아도 4000억 원이고 1%는 800억 원이다. 앞서 가족계획사업이 얼마나 국내 출산율에 영향을 미쳤는지 안다면 영유아 정신건강사업에 드는 비용은 800억 원도 아깝지 않다”고 덧붙였다. 

 

정석진 세원영유아아동상담센터장은 “영유아 건강검진은 언어나 신체발달이 늦은 아이를 주로 선별하기 때문에 사회·정서적 문제가 있는 아이를 선별하기란 한계가 있다. 어린이집에서 심하게 울거나 정서적으로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것 역시 건강검진에서 전혀 걸러지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특히 “겉으로 보이는 문제들만 이야기하는데 정서적·사회적 발달도 아이가 자라는데 굉장히 중요하다”며 “아이의 발달과 애착관계 형성이 잘 됐는지, 부모는 건강한지 등을 종합평가하는 서비스가 지역에서 제공돼야 한다”고 답했다.

 

◇ 영유아 정신건강 프로그램 도입 시급

 

보육전문가들은 현장에서 느낀점을 털어놨다. 문정화 마포구 서교어린이집 원장은 “어린이집에 일찍 간 아이가 발달지연이 있고 불안정애착을 보인다고 하는데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현재 우리 원에 13개월 아이부터 오는데 맞벌이의 경우 13개월 이전에 이미 양육은 다른 사람에 의해 이뤄졌다. 그때 이미 발달지연이 생긴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정화 원장은 “아이가 발달지연이 있다고 말씀드려도 부모는 데이터 없는 평가를 좀처럼 받아들이질 않는다. 어린이집에 오기 전에 발달이 잘 이뤄지고 있는지 검사를 미리 받게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어린이집 원장으로서 당부의 말도 건넸다. 문 원장은 “문제는 부모가 아이를 통제하지 않는 것이다. 공동 집단생활에서 불편함도 이겨내야 하는데 행동수정이 잘 안 이뤄진다. 친구가 부딪히기만 해도 ‘왜 때리냐’고 한다”며 “어린이집에 오래 노출되는 아이도 정신적으로 건강할 수 있도록 부모와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전했다.

 

윤영숙 중구 육아종합지원센터장은 “정서적으로 문제 가진 아이가 2~3명 있더라도 반 운영이 어렵다. 이런 문제로 상담하는 보육교사가 매우 많다”며 “영유아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전체로 확산시켜 부모상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이뤄진다면 교사의 이직률 또한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영유아를 100인 이상 보육하는 시설은 영양사 1명을 의무적으로 둬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5개 어린이집이 공동으로 영양사를 두고 있다”며 “이러한 방식으로 아동심리상담사를 배치하거나, 육아종합지원센터에 아동심리상담사를 배치해서 어린이집이 필요할 때마다 아이를 관찰하고 부모상담을 하고 전문기관에 의뢰하는 서비스 제공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건강하지 않은 부모 문제도 간과할 수 없어

 

그렇다면 학계에선 이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박성옥 대전대 아동교육상담학과 교수는 “경제적 이유 등으로 30대 엄마들이 너무 바쁜 상황에 내몰리다 보니 부모도 정신적으로 피폐해 있는 상황”이라며 “그게 전부 아이에게 전달될 수밖에 없다. 부모의 건강성이 아이에게는 치명적인 결함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므로 “피폐화된 부모들이 주변에서 전문가를 쉽게 만나 상담 받을 수 있어야 한다”며 “구체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고 원인 분석해서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 정신건강 문제를 회복하는데 시간을 앞당겨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희 충북대 아동복지학과 교수는 서면을 통해 “영유아 정신건강은 기존 놀이치료와 달리 대상과 놀이에 대한 프레임이 다르다. 놀이치료 대상은 문제 행동을 보이는 아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정신건강 문제는 사회적 문제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부모의 인식이 낮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영희 교수는 “부모는 ‘한 살 더 먹으면 괜찮아질 거야’라고 생각하고 아이에게 쉽게 스마트폰을 건네는데 이는 정신건강 인식도가 얼마나 낮은지 보여주는 부분”이라며 “부모인식이 안 되는 부분에 대해 학회에서 충분히 다뤄야 한다”고 설명했다.

 

송수진 보건복지부 보육기반과 사무관은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중요하지만 현재 경력단절 문제 등이 있기 때문에 집단보육이 이뤄질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라며 “집단보육을 하다보면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보육기반과 입장에선 이런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보육교직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등 보육환경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부모와 보육교직원이 합심해서 영유아 정신건강을 위해 노력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중규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과장은 “복지부에서는 더디더라도 확실한 실태조사를 하고 그에 따른 계획을 세우자는 입장”이라며 “올해 처음으로 생긴 정신건강 관련 R&D를 통해 기반을 조성해서 하나씩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s ⓒ No.1 육아신문 베이비뉴스 기사제보 pr@ibabynew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사모의 회원이 되어주세요!

베이비뉴스는 창간 때부터 클린광고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은 언론으로서 쉬운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비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베이비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사후원 참여는 아름다운 나비효과를 만들 것입니다.

베이비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베이비뉴스와 친구해요!

많이 본 베이비뉴스
실시간 댓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78 경찰공제회 자람빌딩 B1
  • 대표전화 : 02-3443-3346
  • 팩스 : 02-3443-3347
  • 맘스클래스문의 : 1599-0535
  • 이메일 : pr@ibabynews.com
  • 법인명: 베이컨(주)
  • 사업자등록번호 : ​211-88-48112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 01331
  • 등록(발행)일 : 2010-08-20
  • 발행·편집인 : 소장섭
  • 저작권자 © 베이비뉴스(www.ibaby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개인정보보호 배상책임보험가입(10억원보상한도, 소프트웨어공제조합)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유미 실장
  • Copyright © 2024 베이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ibabynews.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