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민족' 유대인의 자녀교육,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부자 민족' 유대인의 자녀교육, 한국과 무엇이 다를까?
  • 권현경 기자
  • 승인 2020.11.16 1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유대인 자녀 교육에 답이 있다」 유경선 작가

【베이비뉴스 권현경 기자】

「유대인 자녀 교육에 답이 있다」 유경선 작가. 김재호 기자 ⓒ베이비뉴스
「유대인 자녀 교육에 답이 있다」 유경선 작가. 김재호 기자 ⓒ베이비뉴스

구글의 창업자 래리 페이지(Larry Page), 페이스북 만든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 아마존 성공신화 제프 베조스(Jeff Bezos), 인텔의 창업자 앤드류 그로브(Andrew Grove), 스타벅스 CEO 케빈 존슨(Kevin Johnson) 이들의 공통점은 뭘까. 그건 바로 유대인이라는 사실이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자녀가 가정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정은 때아닌 ‘자녀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영유아기부터 시작되는 사교육에 의존한 자녀교육, 우리 아이들 이렇게 키워도 괜찮을까. 

그 고민 끝에 불확실한 시대, 흔들리는 부모 마음을 돕기 위해 유경선 작가는 「유대인 자녀 교육에 답이 있다」(한국경제신문i, 2020년)는 책을 펴냈다. 유 작가는 “5000년 유대인의 지혜를 모방하라는 게 아니라 한 번 즈음 유대인이 어떻게 세계에서 가장 부자 민족이 됐고, 세계 글로벌 혁신기업을 창업하며, 노벨상을 거머쥐는지 그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왜 지금 유대인 교육이 필요한지 피력했다.   

20년간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일하면서 두 아이를 낳아 키웠다. 특히 국회 교육위원회 업무를 6년간 담당하고 홈스쿨링과 대안 교육 제도화에 힘써온 유 작가를 지난달 30일 서울시 당산동의 한 오피스텔에서 만나 유대인 자녀교육으로부터 우리가 배울 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했다.  

◇ “부모와 자녀의 관계, 유대인 수탁자·한국인은 소유자”

유경선 작가는 "유대인은 자녀와의 관계에 대해 자신을 수탁자로 보고 한국인은 소유자로 보는 게 근본적인 차이점"이라고 말했다. 김재호 기자 ⓒ베이비뉴스
유경선 작가는 "유대인은 자녀와의 관계에 대해 자신을 수탁자로 보고 한국인은 소유자로 보는 게 근본적인 차이점"이라고 말했다. 김재호 기자 ⓒ베이비뉴스

- 한국 자녀교육과 유대인 자녀교육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서 근본적인 차이는 ‘누가 중심이냐’에 있는 것 같아요. 유대인은 자녀는 신이 준 선물이고 자신은 수탁자라고 봐요. 자녀교육의 중심은 자녀죠. 우리나라 부모님들 자녀의 소유자로 봐요. 그러면서 자녀를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을 한다고 하는데요, 그게 진짜 자녀를 위한 걸까요? 아이만 경쟁하는 게 아니라 부모님도 심리적 조바심과 불안 사이에서 부모끼리 경쟁합니다. 부모가 불안감을 느끼면 자녀가 다 느껴요. 자녀의 의사를 물어봤는지, 누굴 중심에 두고 있는지 한번 생각해보셔야 할 것 같아요.”

- 유대인 자녀교육은 한국과 정반대라고 하셨어요. 부모의 역할은 자녀의 남과는 다른 달란트를 발견하는 것이라고 하셨는데 주변에서 모두 사교육을 시키는 분위기 속에 혼자 자녀의 달란트를 찾으면서 양육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닐 것 같습니다.

“사실 불안합니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안정적인 일자리라고 하면 뭐가 있을까요? 공무원, 공기업, 대기업 정도 아닐까요. 지금도 마찬가지고 앞으로 이 일자리를 제외하고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세상에서 아이를 키우는데 그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사교육 시켜서 다 ‘스카이’(서울대·고려대·연세대) 보낸다는 보장도 없을뿐더러 세 그룹에 다 들어갈 확률이 50%가 안 됩니다. 우리는 뭘 위해 이렇게 하는지 그 부분을 생각해봐야 해요. 자신의 불안 때문은 아닌지.

한국 부모들은 자녀의 약점을 찾아 보완하려고 해요. 부족하면 학원을 알아보고 학원이 성에 안 차면 과외선생님을 구하죠. 부족한 부분을 자꾸 지적당하면 아이도 지치고 부모도 지치는 이유입니다. 그런데 유대인 자녀교육은 잘하는 부분을 더 살리는 교육이에요. 유대인 부모는 자신의 자녀가 남다른 ‘달란트’가 있다고 믿어요. 부모의 역할은 그 달란트를 발견하는 겁니다.”

“'탈무드'에는 ‘자녀를 가르치기 전에 눈에 감긴 수건부터 풀어라’라는 말이 있다. 여기서 수건은 자녀의 눈이 아닌 부모의 눈을 가리고 있다. 부모의 눈이 수건에 가려져서 있는 그대로의 자녀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자녀에 대한 욕망과 욕심으로 만들고 싶은 자녀만을 볼 뿐이다. 이런 부모는 자녀가 갖고 있는 개성과 잠재력을 발견할 수 없다.”(71~72쪽)

- ‘자녀를 가르치기 전에 눈에 감긴 수건부터 풀어라’라는 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아이의 관심과 달란트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부모가 아이를 더 알기 위해서는 아이와 더 밀도있는 시간을 보내는 게 필요합니다. 아이의 잠재력은 어디에 있는지 정서적으로 대화하고 더 깊이 생각하고 이야기 나누며 교감하면 아이의 직관력이 뛰어난지, 손재주가 뛰어난지, 운동신경이 뛰어난지 등 판단할 수 있어요. 판단할 수 없다면 부모 노력이 부족한 겁니다(웃음). 판단이 안 되는데 운동 해볼까, 악기 해볼까 이건 아니에요. 아이에 대해 어떤 게 우수한지 끄집어내고 판단하려면 공부해야 해요.”

◇ "유대인 부모는 자녀가 어릴 때부터 돈을 어떻게 관리할지 의논합니다" 

유경선 작가는 "유대인의 훈육을 위한 체벌에는 엄격한 조건과 원칙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재호 기자 ⓒ베이비뉴스
유경선 작가는 "유대인의 훈육을 위한 체벌에는 엄격한 조건과 원칙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재호 기자 ⓒ베이비뉴스

- 유대인은 자녀 경제 교육과 관련해서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유대인은 자녀 경제 교육, 언제부터 어떻게 하나요?

“유대인은 아이가 태어나면 자녀 명의의 보험증권, 적금통장, 증권통장을 만듭니다. 유대인의 투자 원리인 3-3-3의 법칙에 따른 분산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다섯 살부터 집안일에 참여하도록 해요. 초등학교 들어가면 아이 은행 계좌를 개설하고 부모의 한 달 치 월급을 넣어줘요. 만 13세가 되면 성인식을 치러줍니다. 친척들이 축하금을 주죠. 축하금만 해도 수만 달러에서 수십만 달러가 됩니다.

그 용돈을 유대인 부모는 어떻게 관리할지, 향후 어디에 사용할지 자녀와 의논합니다. 고등학교와 군 복무를 마치게 되면 성인식 축하금은 몇 배 이상의 자산으로 불어나 창업자금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유대인은 자녀의 경제 교육을 태어날 때부터 시키는 셈이죠.”

-유대인들이 어릴 때부터 경제 교육을 받으며 성장해 경제 관념이 남다른데 기부 문화도 활성화돼 있다고요? 그런데 한국은 기부에도 인색한 것 같습니다.

“유대인은 돈 버는 데에 관심이 있지만 번 돈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도 율법은 가르치고 있어요. 유대인의 자선 중 가장 큰 자선이 바로 일자리를 만들어서 누군가가 경제적으로 자립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반면 한국은 사농공상이라는 의식이 있어 돈을 밝히거나 돈을 버는 것에 대해 인식이 다소 부정적일 뿐만 아니라 일자리 만드는 기업인에 대한 인식이 그다지 좋은 것 같지 않습니다.”

◇ "유대인은 율법에 따라 세 가지 경우에만 체벌을 허용합니다"

-유대인은 율법에 따라 자녀를 때린다는 내용이 충격적이었는데요, 훈육 차원이라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민법 제915조 자녀 훈육을 이유로 한 체벌을 허용하는 근거로 활용됐던 민법 조항이 62년 만에 삭제하기로 했거든요.

“유대인의 훈육을 위한 체벌에는 엄격한 조건과 원칙이 있습니다. 자녀에게 훈육이 필요한 순간은 남에게 피해를 주는 일을 하거나 위험한 행동을 할 때 또는 규범에 어긋나는 일을 할 때 세 경우만 해당 됩니다. 훈육의 원칙은 유대인 부모는 우선 자신의 감정을 살펴요. 화가 났다면 평정심을 유지하기 위해 기도를 드리기도 해요. 평정심을 찾은 후 아이에게 스스로의 행동에 대해 설명할 기회를 줍니다. 아이가 스스로 설명한 후에 체벌하는데 아이를 때리지 않을 수 없게 됐을 때는 신발 끈으로 때리게 돼 있어요. 신발 끈이 없으면 손바닥으로 엉덩이 등을 때려요. 그런데 머리는 지혜의 근원이라 여겨 절대 때리지 않습니다.”

-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에게 선배 엄마로서 꼭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다면요?

“초·중·고등학교 12년 동안 시간과 돈을 대입을 위해 쏟습니다. 아이는 스무 살에 인생이 끝나는 게 아니라 백 살까지 살아야 해요. 우리 사회가 일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점점 양질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어요. 아이가 백 살까지 가치 있게 독립적으로 살 수 있는 길을 뭔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지금의 방식은 아닙니다. 유대인은 죽을 때까지 공부하고 재산을 증식시키고 기부하고 사회에 가치있게 삽니다. 유대인의 지혜에 관심가지고 살펴보시고 실천을 좀 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베사모의 회원이 되어주세요!

베이비뉴스는 창간 때부터 클린광고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은 언론으로서 쉬운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비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베이비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사후원 참여는 아름다운 나비효과를 만들 것입니다.

베이비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베이비뉴스와 친구해요!

많이 본 베이비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78 경찰공제회 자람빌딩 B1
  • 대표전화 : 02-3443-3346
  • 팩스 : 02-3443-3347
  • 맘스클래스문의 : 1599-0535
  • 이메일 : pr@ibabynews.com
  • 법인명: 베이컨(주)
  • 사업자등록번호 : ​211-88-48112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 01331
  • 등록(발행)일 : 2010-08-20
  • 발행·편집인 : 소장섭
  • 저작권자 © 베이비뉴스(www.ibaby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개인정보보호 배상책임보험가입(10억원보상한도, 소프트웨어공제조합)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유미 실장
  • Copyright © 2024 베이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ibabynews.com
ND소프트